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개발 기초 다지기71

알고리즘 문제 정리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두 수를 입력받아 두 수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배열의 맨 앞에 최대공약수, 그다음 최소공배수를 넣어 반환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두 수 3, 12의 최대공약수는 3, 최소공배수는 12이므로 solution(3, 12)는 [3, 12]를 반환해야 합니다.제한 사항두 수는 1이상 1000000이하의 자연수입니다.입출력 예nmreturn312[3, 12]25[1, 10]입출력 예 설명입출력 예 #1위의 설명과 같습니다.입출력 예 #2자연수 2와 5의 최대공약수는 1, 최소공배수는 10이므로 [1, 10]을 리턴해야 합니다. - 내가 푼 풀이function solution(n, m) { var answer = []; .. 2024. 6. 11.
JWT/인증 미들웨어 복습(팀프로젝트와 회고하며 복습하기) 이번에 팀프로젝트를 하며 내가 맡은 부분은 댓글 CRUD, 좋아요 부분이었기에 인증 부분에 대한 이해가 조금 부족하게 느껴졌다. 팀원의 코드를 분석해가며 인증 부분의 기초인 쿠키와 세션에 대해 복습을 진행해보려한다.  ** 인증 및 권한 부여// Access Token을 생성하는 함수function createAccessToken(id) { const accessToken = jwt.sign( { id: id }, // JWT 데이터 ACCESS_TOKEN_SECRET, // Access Token의 비밀 키 { expiresIn: TOKEN_EXPIREDIN }, // Access Token이 10초 뒤에 만료되도록 설정합니다. ); return accessToken;}// Ref.. 2024. 6. 10.
RESTful API에 대하여 이번 팀프로젝트를 무사히 마쳤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우리팀 포함한 다른팀들도 가장 많이 받은 피드백이 RESTful한 API를 짜라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RESTful한 API란 무엇일까?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웹 서비스를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 중 하나이다. RESTful API는 이 아키텍처 스타일을 따르는 API를 말한다.   자원 (Resource): RESTful API는 자원을 중심으로 설계됩니다. 자원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제품, 주문 등의 개념적인 개체가 자원이 될 수 있습니다.행위 (Verb):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를 사용하여 자원에 대한 행위를 정의합니다. 각각의.. 2024. 6. 7.
Prisma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변경하기 이번 팀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처음으로 많은 테이블을 다루게되었다. 많은 테이블과 연관관계 그리고 스키마를 나만 만들지 않다보니 여러 기능을 만들다보면 스키마를 수정할 일이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처음에는 스키마를 수정하면 데이터베이스에도 적용해야한다는 점을 몰라서 풀리지 않는 오류에 시간을 꽤나 오래쓰기도 했는데, 이번 기회에 스키마를 변경해야할 경우 어떻게해야하는지 정리해보려한다. 1) 스키마 수정 (모델 수정)shchema.prisma 파일을 열어 필드를 추가, 삭제, 수정을 진행한다.  2) 마이그레이션마이그레이션 : Prisma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변경을 추적하는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변경된 모델을 기반으로 마이그레이션을 생성 - Prisma CLI를 사용하여 마이그레이션을 생성npx pris.. 2024. 6. 6.
반응형